[Spring] 트랜잭션과 동시성
·
Spring Framework/Spring
처음 Spring을 공부할 때 감명받은 기능 중 하나가 @Transcational이었다. 애너테이션만 붙여주면 일일히 커넥션을 열고 커서를 가져오고 작업하고 리소스를 닫는 등 번거로운 작업들이 알아서 적용되니 정말 편리했다. 그러다보니 트랜잭션이 필요한 곳에서는 관성적으로 @Transactional를 추가하고 모든 문제가 해결됐다고 생각했다. 하지만 서비스 환경에서 멀티 스레드 상황이라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.트랜잭션, 격리 수준, 락킹, 동시성 제어 등 여러 용어들은 많이 들어보고, 또 알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각각의 개념이 서로 연결되지 않은 느낌이 들었다. 동시성 제어에 대해 다시 공부를 시작하면서 차근차근 정리해나가려고한다. 우선은 가장 기본적인 트랜잭션과 @Transactional에 대해 포스팅을..